호칭의 뜻

두낫잇 / / 2017. 11. 5. 02:22

호칭의 뜻

1.jpg

2.jpg

3 (3).jpg

4 (2).jpg

5.jpg

6.jpg

7.jpg

8.jpg

img1.daumcdn.jpg

1.jpg

2.jpg

3 (3).jpg

4 (2).jpg

5.jpg

6.jpg

7.jpg

8.jpg

img1.daumcdn.jpg

 

 

휘하

장군의 통솔 아래에 있는 모든 병졸

 

 

슬하

 

무릎의 아래라는 뜻으로, 어버이나 조부모의 보살핌 아래를 의미

 

 

족하(조카)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공자 중이(重耳)가 국외로 도망하여

 19년 만에 돌아오게 되었는데, 중이는 왕위에 올라 진 문공(文公)이 되었다고 한다.

 

당시 중이는 공신(功臣)들에게 상을 주면서 개자추(介子推)를 빠뜨리고 말았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이 숨어 지낼 때 그에게 허벅다리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그를 받들던 사람이었을 정도로 문공을 따르던 사람이었으니 실망이 컷을 것이다.

 

이에 개자추는 어머니와 함께 금상(錦上; 지금의 산서성 개휴현)의 산에 들어가 은거하였고,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문공은 개자추가 살고 있다는 산 속을 찾아보았으나 그는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문공은 결국 산에 불을 질러 그를 산 밖으로 나오게 하려했는데,

개자추는 어머니를 업은 채 나무를 붙들고 불에 타죽었다고 한다.

 

문공은 그 나무를 치면서 슬피 울더니,

그 나무를 베어 신발 바닥으로 만들어 신었다.

 

 문공은 국외로 피난하는 동안 식량이 떨어지자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자기에게 먹여주었던 개지추의 은공(恩功)을 생각할 때마다,

그 신발을 보며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슬프도다, 그대여(悲乎, 足下)"


즉 문공 자신의 사람됨은 개자추의 발 아래에 있다는 말이다.

족하(足下)라는 호칭은 여기에서 생기게 되었으며


여기서 생겨난 족하라는 호칭은

 그 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천자족하, 대왕족하 등으로 임금을 부르는 호칭으로,

 그 후에는 임금의 발 아래서 일을 보는 사관(史官)을 부르는 호칭으로,

후대로 내려오면서 같은 나이 또래에서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 썼으나,

 지금은 조카라는 말로 변하여 형제자매가 낳은 아들 딸을 가리키는 호칭으로 쓰이고 있다.

'두낫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 폭발 사고낸 운전자의 실체  (0) 2017.11.05
2m10cm 여성 모델  (0) 2017.11.05
류준열 vs 박보검  (0) 2017.11.05
상자고문  (0) 2017.11.05
토닥토닥  (0) 2017.11.05
나이키의 지드래곤을 위한 선물  (0) 2017.11.05
팬티에 똥 묻는 게 이상한 일인가요?  (0) 2017.11.05
언짬몇?  (0) 2017.11.05
걸그룹 키 순위  (0) 2017.11.05
신형 계단오르기 머신  (0) 2017.11.05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