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경의 발전

두낫잇 / / 2017. 5. 7. 14:30

망원경의 발전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이러한 우주 사진들은 대부분

'허블 우주 망원경' 이 촬영한 사진이다.

하지만 이제 이 망원경의 수명이 거의 다 했다고 한다.





11.gif 망원경의 기술 여기까지 발전했다.


2018년에 띄워질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22.gif 망원경의 기술 여기까지 발전했다.

 

33.jpg 망원경의 기술 여기까지 발전했다.


정말 어마무시한 제임스웹 망원경..



 

44.jpg 망원경의 기술 여기까지 발전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달과 같이 지구를 돌지만..



 

55.gif 망원경의 기술 여기까지 발전했다.


제임스웹 망원경은 그림과같이 지구 뒤편에 숨어서 태양을 돌게된다.

따라서 제임스웹이 위치한곳에는 태양에 의한 여러가지 방해가 없고

지구와 150만KM나 떨어져있어 천체관측을 방해하는 어떠한 방해도 받지않게된다.


제임스 웹은 허블망원경보다 7배나 큰 집광력을 가졌기 때문에

(빛을 모으는 능력이 허블에 비해7배나 크다는말)

훨씬 더 멀리 볼 수 있다.




55.jpg 망원경의 기술 여기까지 발전했다.


또한 제임스웹의 거울은 영하 220도에 이르는 극한 우주공간에서 견디기 위해

'베릴륨' 이라는 특수소재로 만들어졌으며 '금'을 씌워 코팅하였고,

우주망원경 최초로 어두운곳을 볼 수 있는 '원적외선' 기능도 넣었다.


이 제임스웹의 반사거울은 무려 137억 광년 떨어진 천체를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이는, 우리가 생각하는 우주 끝까지 볼 수 있는 것으로,

우주 탄생의 비밀과 외계 생명체의 존재 확인에 큰 기여를 하게 될것이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